걷다보면 멈췄던 생각, 망각의 늪에 잠겨 있던 기억, 새로운 아이디어가 불현듯 떠오를 때가 있다.

생각하기와 걷기는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불안정한 균형을 통해, 무한히 균형을 잃었다가 되찾으면서 멀리 나아간다.

 

 

[본문발췌]

 

 

오래 걸을수록 걷기는 우리를 사로잡고, 점령하고, 우리의 몸짓과 호흡 리듬, 심장 박동을 바꿔놓는다. 그리고 우리의 생각까지 다르게 형성한다. 우리가 몰두하고 전념하는 중심활동이 되면서 걷기는 생각에 연이은 변화와 새로운 자극을 가져오고, 그것이 특별한 제약처럼 작용해 생각의 흐름을 바꿔놓는다. 오랜 걷기로의 복귀는 우리를 자연 속으로, 몸의 느린 전진 속으로, 근육과 호흡의 지구력 속으로 끌어들인다. 또 이런 걷기는 우리를 다시 풍경 속으로 돌려보내 높낮이와 거리, 땅을 의식하게 한다. 그것은 우리에게 오랜 리듬, 심오하고 우주적인 리듬을 되찾게 하고 이동의 피로를 느끼게 하며 어느 고개, 어느 산봉우리를 돌아설 때 문득 펼쳐지는 파노라마를 보상으로 돌려준다. 오랜 걷기의 이 모든 면모들은 - 육체적이건, 심리적이건, 도덕적이건, 문학적이건, 철학적이건 - 최근에 폭넓게 재발견되어 칭송받고 있다.

 

 

여정이 얼마나 지속되는지는 중요치 않다. 일단 이 움직임이 시작되면 3초건 3일이건 우리는 걷거나 생각한다. 철학적 생각 속에서 위대한 여행, 긴 흐름의 항해를 이어갈 수 있고, 한평생 이어질 질문들을 파고들 수 있다. 아니면 그저 매 분, 매 시간, 일상을, 현재의 몸짓들을, 우리가 투사하는 모든 것을,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대답들을 생각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건, 생각하기와 걷기는 서로 닮았다. 생각 또한 불안정한 균형을 통해 나아간다. 무한히 균형을 잃었다가 되찾으면서 멀리 나아간다.

 

 

진보 - 몸이 어떤 장소로 나아가는 진보, 생각이 어떤 진리를 향해 나아가는 진보 - 는 매번 촉발되었다가 모면되는 추락의 형태를 취한다. 철학에서건 과학에서건 서양 역사 속에서 진보는 언제나 하나의 확신에서 문제 삼기로, 두 번째 확신과 만회에서 새로운 문제 삼기로 나아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철학적 체계, 학문적 이론, 정치적 주장, 미학적 세계 모두 동일한 움직임이 되풀이된다. 넘어뜨리기, 만회하기, 다시 넘어뜨리기, 다시 만회하기, 그러면서 나아간다. 이런 형태의 걷기를 곳곳에서 '진보'라고 부르는 건 우연히 아니다. 진보를 말하는 사람은 사실 걷기를 말하는 것이다. 라틴어로 '걷기'는 Gradus, '걷다'는 Gradere이다. 진보pro-gresus는 나아가게 하는 것, 한 발을 내딛는 것이다. 물리적 세계에서나 정신적 세계에서나 마찬가지다. 그런 의미에서 진리를 추구하는 철학적 사유의 걷기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가는 인간의 걷기와 깊고도 정확하게 상응한다.

 

 

"숲에서 길을 잃었을 때는 빙빙 돌며 헤매지 말아야 하고, 제자리에 머물러서는 더욱 안 되며, 이쪽이든 저쪽이든 언제나 같은 쪽을 최대한 똑바로 걸어야 하고, 사소한 이유로 길을 바꾸지 말아야 한다. 처음에는 오직 우연이 그 길을 선택하게 했을지라도, 이 방법으로는 자신이 가고자 하는 곳에 가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어딘가 끝에는 이를 것이기 때문이다. 그곳이 아마 숲속 한가운데보다는 나을 것이다."

 

 

걷기가 절뚝이는 것이고, 넘어지다가 다시 만회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여행하는 것도, 생각하는 것도, 똑같이 지속적인 불균형, 똑같은 중심 상실과 되찾기로 이루어진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742269

반응형
Posted by 소요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