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중 잠깐의 걷기를 통해 여유를 느끼거나 생각을 정리하기도 하는데 탈것을 이용한 이동에서는 그 속도감 때문인지 걷기에 비해 풍경을 제대로 바라보고 느끼거나 사유의 시간을 가지기 어렵다.

 

섬의 어느 길 끝에 펼쳐지는 나무와 바다, 그 위에 떠 있는 다른 섬과 하늘의 풍경! 

 

봄이면 찾곤 했던 사량도 섬산행길 추억을 떠올리는 강제윤 작가의 <섬을 걷다> 

 

 

[본문발췌]

 

 

삶은 비교 대상이 아니다. 누구도 삶을 벗어날 수 없는 것처럼 누구도 삶의 판관일 수 없다. 어제는 어제의 삶을 살았고 오늘은 오늘의 삶을 산다. 너는 너의 삶을 살고 나는 나의 삶을 살아간다. 그것이 전부다. 나는 늘 삶에 대해 서툴다. 그렇다고 내 삶이 실수투성이인 것을 책망할 생각은 없다. 누구나 그렇듯이 나 또한 처음 살아보는 삶이 아닌가.

 

 

아름다운 것은 무엇인가. 변치 않는 진리일 것이다. 눈에 보여지는 것만이 아닌 거기 담겨있는 진실일 것이다. 치우치지 않는 조화로움일 것이다. - 발문, 그리하여 아름다운 섦들의 풍경, 박남준(시인)

 

 

여행자들은 들떠 있으나 그들은 차분하다. 여행자들이 바다에서 눈을 떼지 못할 때 그들은 지루함에 눈을 감거나 부족한 잠을 청한다. 아무리 아름다운 바다 풍경도 익숙해지면 일상이다. 풍경이 주는 감동의 대부분은 낯설음에 있다.

 

 

길의 본뜻은 무엇일까. 한자 길道 자는 辶(착)과 首(수)로 이루어진 회의문자다. 그래서 언젠가 신영복 선생은 "辶은 머리카락 휘날리며 사람이 걸어가는 모양이며 首는 사람의 생각을 의미하니 길이란 곧 사람이 걸어가며 생각하는 것"이라고 풀이한 바 있다. 나는 그 뜻을 길이란 통로인 동시에 사유의 길이고, 사유를 통해 자신과 소통하고 자연과 소통하고 나아가 세계와 소통하는 길이란 의미로 이해했다. 하지만 도시의 길들은 자동차와 온갖 장애물의 위협으로 인해 더 이상 생각에 몰두하며 걸을 수 있는 길이 아니다. 이 길들은 오로지 통로로만 기능할 뿐이다. 이런 오솔길, 흙길, 사람이 안심하고 걸을 수 있는 길들을 더 이상 훼손하지 않고 보존하는 일이야말로 이 시대의 정신을 비옥하게 하는 소중한 토양이 아닐까. 나는 많은 길들이 '사유의 확장' 기능을 되찾을 때, 이 소란하고 얕은 세상에서 우리의 삶이 더 깊고 고요해질 것을 믿는다.

 

 

실상 삶에는 방향 표지석 따위는 없을지도 모른다. 삶은 정해진 방향을 따라가는 일이 아니라 늘 새로운 방향을 만들어 가는 일이다. 그저 주어진 삶은 없다. 어디에서도 삶은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삶일 뿐이다.

 

 

한 해가 가고 또 한 해가 시작되고, 아침이 와도 바람은 그치지 않는다. 달력이 바뀐다고 삶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삶을 대하는 태도는 달라질 수 있다. 그것이야말로 삶을 바꾸는 힘의 원천이 아닐까. 그래서 한 해의 첫날 찬바람 속을 걷는 의미는 각별하다. 오늘은 섬의 동쪽으로 간다.

 

 

대개 섬에서 사람 사는 마을의 뒤편은 공동묘지다. 볕이 잘 드는 봉분 근처에 자리 잡고 앉는다. 사람은 죽음의 뒷마당에서도 삶의 앞뜰을 생각한다. 죽음 곁에서도 삶은 따뜻하다! 어떠한 삶도 양면이다. 슬픔의 뒷면은 기쁨이고, 상처의 뒷면은 치유다. 실연의 뒷면은 사랑이고, 절망의 뒷면은 희망이다. 어둠의 뒷면은 빛이다.

 

 

또 모자랄까 두려워함이란 무엇인가? 두려워함, 그것이 이미 모자람일뿐. 그대들은 샘이 가득 찼을 때에도 목마름을 채울 길 없어 목마름을 두려워하진 않는가? - 칼릴 지브란

 

 

나누지 못하는 것의 근원은 소유욕이 아니다. 불안이다. 모자랄지 모른다는 두려움. 그래서 다 쓰지 못할 것을 알면서도 나누지 않고 자꾸 쌓아 두려 한다. 나 또한 그러하다. 배낭 하나 메고 떠도는 삶이지만 나날이 배낭은 무거워진다.

 

 

진정한 나눔이란 무엇일까. 자신이 쓰고 남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도 소중한 것을 아낌없이 나누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나눔이 아닐까. 

 

 

돈을 더 많이 번다고 해서 삶에 대한 불안이 줄지는 않는다. 가득 채우고도 늘 모자랄까 두려워한다. 만족을 모르는 삶은 도시와 농어촌이 다르지 않다. 본디 일이란 삶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수단을 목적으로 만드는 사회는 사악하다. 하지만 이 사회는, 국가는, 자본은 개인이 필요보다 더 많이 일하도록 끊임없이 선동한다. 개인에게는 온갖 사회적 의무와 책임을 강요하면서도 개인의 삶은 책임져 주지 않는다. 교육, 의료, 노후까지도 철저하게 개인에게 책임지우는 사회. 그러니 소득이 늘어도 개인의 불안은 줄어들지 않는다. 개인의 불안은 사회의 불안을 잉태한다. 그러므로 이 나라에서 국가 안보와 체제 불안을 조장하는 가장 큰 반국가 세력은 자본과 국가 자신이다!

 

 

나는 인간은 '동물' 이라는 사실에 더 주목한다. 다시 말하자면 움직이는 존재라는 것이다. - 이일훈, <모형 속을 걷다>

 

 

신들의 지위를 결정하는 것은 신들의 힘이 아니다. 신을 믿는 자들의 믿음의 깊이다.

 

 

옛날 어선들은 눈으로 가늠해 가며 그물을 던졌으나 이제는 어군탐지기로 물고기들이 지나는 길목을 정확히 찾아내 그물질을 하니 치어까지 싹쓸이되고 만다. 어로 기술의 발달이 단기적으로는 이익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바다의 파국을 앞당기는 독이 된 것이다. 수만 년, 누대에 걸쳐서 나눠 써야 할 자원을 단기간에 고갈시켜 버리는 과학 기술. 인간이 이룬 과학 기술의 발달을 인간이 통제할 수 없게 될 때 과학 기술은 더 이상 인류에게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다.

 

 

사물은 객관적이지만 풍경은 주관적이다. 풍경은 속도에 종속된다. 걷는 속도, 탈것의 속도, 바람과 안개와 구름의 속도, 마음의 속도에 지배된다. 같은 풍경을 보고 와서도 그려 내는 풍경이 사람마다 제각각인 것은 사물을 관찰할 때의 속도가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속도가 놓치는 풍경을 걷기의 속도는 포획해 낸다.

 

 

사람의 마음이 늘 무겁거나 가볍기만 하겠는가. 무겁기가만 하다면 가라앉아 버릴 것이고 가볍기만 하다면 날아가 버릴 것이다. 사람이 세상에 발붙이고 살 수 있는 것은 사람의 마음에 추가 있기 때문이다. 무거움과 가벼움을 오가며 균형을 잡아 주는 균형추. 마냥 마음의 오고감에 휘둘리며 살 이유가 없는 것은 그 때문이다.

 

 

사실이 너무 잔혹하지 않고 꿈이 너무 비현실적이 아닌 나라에서 살았으면. - 버나드 쇼, <존 불의 또 하나의 섬>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346470

반응형
Posted by 소요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