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는 꿈과 미래에 대한 것이고 불확실성에 대한 것이다. 불확실성을 좀 더 줄이기 위해 분석과 기준, 판단이 필요하다.

그리고 탐욕을 억누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문발췌]

 

기업의 주가는 내재가치에 수렴해 간다고 보고, 주가가 내재가치보다 쌀 때 매입해 두었다가 주가가 내재가치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팔아 수익을 낸다.

 

 

주식시장에서는 때때로 실적의 중요한 변화를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모두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장된 경향은 호황기나 침체기에 확연히 나타나고, 그 밖의 시기에는 일부 회사에서 개별적으로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주식, 특히 보통주를 성공적으로 매수할 수 있는 능력은 미래를 정확하게 바라보는 능력이다. 과거는 아무리 주의 깊게 살펴보더라도 충분치 않으며, 오히려 득보다 해가 될 수도 있다. 좋은 주식을 선택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다. 그래서 성공할 경우 엄청난 보상이 뒤따르는 것이다. 주식투자는 과거의 '사실'과 미래의 '가능성' 사이에서 절묘한 지적 균형이 요구된다.

 

 

현명한 투자는 손실을 보지 않는 것. 재무제표 분석을 통해 기업의 현재 위치와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견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자산가치와 수익창출 능력, 동업종 내 기업과의 비교를 통한 재무건전성 파악, 수익의 추세, 항상 변하는 상황에 대처하는 경영진의 능력 등 모든 요인들이 증권의 가치와 중요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기업의 통제 밖에 있는 외부 요인들이 증권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일반적인 경제 여건과 증시 상황,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시기, 임의적인 시장 조작, 특정 증권에 대한 대중적 선호도 등의 요인들은 정확한 재무비율이나 안전마진의 측면에서는 측정될 수 없는 것들이다. 이러한 통제 불가능한 요인들은 금융 뉴스나 산업 뉴스를 지속적으로 접하면서 습득한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서만 판단이 가능하다. 기업의 재무제표에 근거해 증권의 시장가격이 저렴해 보일 때 매수하고, 역시 재무제표에 근거해 비싸 보일 때 매도하는 투자자라도 '엄청난' 수익을 내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투자자는 마찬가지의 '엄청난' 손실이나 잦은 손실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분명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평균 이상일 것이다. 이것이 바로 현명한 투자의 주요한 목적이다.

 

 

투자란 단지 예측하고 신중하게 대비하는 것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260448

반응형
Posted by 소요유+
,